2014년의 기억 썸네일형 리스트형 2014년 학교비정규직 총파업을 되돌아보며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경남지부 조직국장 안혜린 학교비정규직노동자는 조리실무사, 조리사, 영양사 등의 학교급식 직군과 도서관 사서, 행정실무원, 교무실무원, 과학실험원 등의 각종 보조 직군 및 영어회화전문강사를 비롯한 각종 강사 직군 등 60여개가 넘는 다양한 직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구, 학교비정규직본부)는 지난 2012년 당시로서는 유래가 없었던 학교비정규직 총파업을 결의하였다. 파업 결의 당시의 이런저런 여론 중 우리를 가장 아프게 한 것은 ‘니들이 설마 아이들의 밥을 가지고 장난을 칠 수 있겠냐?’라는 것이었다. 그러나 우리는 당당히 거리로 나섰다. 두고 온 아이들이 너무나도 아팠지만, 학교 내의 수많은 차별을 없애고, 학교를 보다 인간적인 노동현장으로.. 더보기 전교조 법외노조 공방의 진실은 양태인 (마산동중 교사, 2014년 전교조 마산중등지회장) 신자유주의 경제 체제 확립의 적, 전교조를 없애라 - 전교조 법외노조 공방의 진실은 전교조 탄압의 새로운 수단 ‘법외노조가 뭐지?’ 2013년 노동부는 이명박 정부 때부터 만지작거리던 전교조 탄압 카드를 빼들었다. ‘노조 아님 통보!’이명박 정부는 전교조가 해고된 자의 조합원의 자격을 유지하게 하고 있는 규약을 법에 맞게 고치라는 공문을 전교조에 보낸다. 전교조는 노동조합법도 아닌 시행령에 근거한 시정 요구가 부당하다며 이를 거절했다.몇 차례 공문이 더 왔지만 그대로 넘어 갔다. 박근혜 정부 들어서 다시 시정 요구 공문을 보낸다. 전교조는 거절했다. 이번에는 날짜까지 명시하여 시정 요구를 하고, 이를 따르지 않으면 노동조합법 상의 노조가 아니라 .. 더보기 밀양 싸움은 끝나지 않았다 마산창원진해환경운동연합 활동가 곽빛나 며칠 전, 코끝으로 차가운 바람이 불고 눈 내리던 날 옷깃을 여미며, 밀양송전탑이 들어선 단장면 동화전 마을의 사랑방에 갔다. 올 11월부터 매주 월요일마다 사랑방에 모여 몸살림 운동을 하고 있다. 반갑게 맞이해주는 낭끝할매와 서울댁할매 손을 잡으면서 벌써 2014년의 끝자락이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2014년 5월말 101번 송전탑 부지에 주민들이 만들어 놓은 농성막을 가기위해 매일 산을 오르던 그때는 점점 더워지는 여름이 오는 것이 두렵고 걱정스러웠는데, 그런 순간이 있었던가 싶을 정도로 시간은 빨리 지나갔다. 이 공사는 끝나지 못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간들도 찰나같이 지나갔다. 2012년 8월 1일 밀양으로 파견 나온 이후 가장 끔찍했던 2014년 6월 11일..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