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사회

이경숙선생추모사업회, 선생님의 뜻과 정신을 다시 꽃피우기 위한 한 걸음을...

 

김영희(이경숙선생추모사업회 회원)

 

선생님을 처음 만난 건 2000년 첫 애를 낳고 백 일 정도 흘렀을 무렵이었다. 육아 스트레스에 산후 우울증으로 하루 해가 뜨는 게 무서운 날들이었다. 아시는 분 소개로 <경남여성회>라는 여성단체가 운영하는 마을 도서관의 일을 제안받았다. 그 일자리를 둘러싼 제반 상황이 당시 내게는 들어오지 않았다. 아이에게는 미안한 말이지만, 그냥 벗어날 수만 있다면 어디든 오케이 하고 싶은 심정이었다.
마침 여성회 회장을 맡고 계신다는 분이 내가 살고 있던 신촌동에 살고 있다고 해서 평일 저녁 아파트를 찾았다. 칠이 군데군데 떨어져 나간 임대아파트의 5층에서 처음으로 선생님을 뵜다. 범상치 않은 인상이었다. 부리부리한 눈에다 짙은 눈썹, 약간 기에 눌리는 카랑카랑한 목소리까지.
결국 일을 같이 하게 되었고, 교통이 불편한 신촌동에서 가음동 남산복지회관까지 차도 얻어타게 되면서 몇 년을 같이 했다.
첫 인상처럼 일에서는 엄격하고 단호하지만, 어찌나 여리고 순진한 면이 많던지.

2002년 민주노동당 비례로 도의회로 진출하시고 얼마 되지 않아 유명을 달리 하신 소식을 듣고 그 장례식장에서 보낸 이틀의 날 동안이 살아 계실 때보다도 더 많은 선생님의 그림자를 느낀 시간이었다.
1980년대 암울한 정권하에서 마산가톨릭여성회관,노동상담소에서 민주화운동, 노동운동의 일꾼을 기르시고, 마창여노, 경남여성회 등 지역 여성운동의 대모로서 부문운동으로만 평가절하되던 여성운동을 전면에 내세운 분이기도 하다. 무엇보다 여성이 사회변화의 중심에 설 수 있도록 자아성장에 대한 연구를 게을러 하지 않으셨고, 그 결과물로 정치활동, 의정활동을 열심히 하셨다.
그런 삶이었기에 부고 소식이 알려진 순간부터 땅으로 돌아가실 때까지 전국 곳곳에서, 어디에 숨어있는지도 몰랐던 소중한 인연들이 장례식장 한 켠에서 슬퍼하며, 술잔을 기울이고 서로를 얼싸안고 울었다.
별 힘이 없는 신생정당 비례대표로 방도 배정 못받아 간판이 붙지 않은 집무실에 계셨지만 의회를 찾아가면 경비아저씨가 친절하게 선생님 방을 안내해 줄 정로로 도의회 직원, 경비아저씨까지도 세심하게 배려하신 분이다. 당시는 의원활동비도 보장되지 못하는 시기여서 지갑은 항상 얇았지만, 주위에는 사람들이 들끓었다.

 

 

2016년 12월, 이경숙선생추모사업회는  또 한번의 변화를 맞이하였다.

2005년, 평생을 소외받고 차별과 억압에 고통받는 사회적 약자를 위해 헌신하셨던 선생님의 삶을 이어받고자 전국, 지역의 동지들과 지역 여러 단체들의 논의와 참여속에 “이경숙선생추모사업회” 결성하여 활동, 2009년 주관단체를 <마산창원여성노동자회>로 선정하여 활동, 2016년 정기총회에서 회원조직으로 활동할 것을 결정했다.
이렇게 선생이 떠나가신지 13년동안 진행되어온 상황변화는 출발할 당시의 추모사업회 활동의 결의와 뜻을 발전시키고 확장시키지 못한 반성을 우리 모두가 해야할 일이다.
또한 다시 선생의 뜻을 이어받는다는 것이 무엇인지를 되돌아보고 살피며 추모사업회 활동을 고민할 수 있는 계기라 생각한다.

작지만 움을 틔울 희망의 싹을 본다.

상황이 어렵고 힘들지만 여전히 선생님을 기억하며 그 뜻을 실천하려는 회원들이 남아있어
지난 12월 정기총회를 열어 선생님 이름으로 깃발을 세웠다. ‘추모’의 이름에 갇히지 말고 각자의 일터에서 개인이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선생님의 이름을 알리고, 선생님의 활동을 이어나가자며 머리를 모았다.

우선, 매달 한 번 서로의 얼굴을 보면서 그 속에 들어있는 이경숙을 찾아내고 서로 동질감을 느끼는 공감대의 시간을 만들었다. 만남의 장소도 각자 회원들의 일터를 돌아가며 선정해 조금 더 많은 회원이 함께 할 수 있도록 고민중이다. 이것은 운영위원 몇 명이 머리 모아 뭔가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더디지만 함께 의견을 내고 마음을 모아 활동을 완성해나가고자 하는 마음이다.
이번 주 일요일 3월 19일에는 생신을 맞아 묘소를 찾아뵙기로 했는데 이 날은 근무 때문에, 지역적 거리 때문에 평소 함께 하지 못하는 분들도 참여할 수 있다. 볕 좋은 사월에는 가까운 곳으로 나들이도 다녀올 예정이다. 깃발과 집회장에서 함께 하는 것만이 추모가 아니라는 것과 이런 자리를 통해 우리가 만들어가고자 하는 추모의 의미도 공유할 수 있을 것이다.

 

추모사업회는 웹 상에서 작은 공간도 만들 예정이다.
아직 그 이름을 정하지는 못했지만 각자가 가지고 있는 여러 기억들을 모아내서 선생님을 만들어나가는 “기억의 저장소”같은 꼭지도 만드려고 한다. 이것은 단순히 선생님을 기억하고 추모하는 행위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런 선생님이 하고자 했던 활동, 만들고자 했던 세상에 대해 다시 되새기는 작업이다. 나아가 제2의 이경숙, 제3의 이경숙을 우리 이웃에서 만들고자 하는 바램이기도 하다.
지역에서 선생님을 아는 분들도, 알지 못하는 분들도 함께 그 취지에 선뜻 동참할 수 있는 추모사업회의 밑그림을 열심히 그리고 있다.
그 길에 관심 있다면 똑~똑~ 노크 한 번..............